오쿠보 다다치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쿠보 다다치카는 1553년 도쿠가와 씨의 중신 오쿠보 타다요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미카타가하라 전투에서의 충절을 인정받아 봉행직에 임명되었다. 이후 부교시키를 거쳐,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종5위로 임명되고 하뉴 성을 관리하며 무사시 국에서 영지를 받았다.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로주가 되었으나, 1613년 발생한 사건들로 인해 실각하여 유배되었고, 그의 적손 오쿠보 타다토모가 가문을 잇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다와라번주 - 오쿠보 다다노리
오쿠보 다다노리는 에도 시대 후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활동한 다이묘이자 귀족으로, 정치적 입장 변화를 거쳐 오쿠보 가문의 당주로 복귀하여 자작 작위를 받았으나, 그의 행보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오다와라번주 - 이나바 마사카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 가스가노 츠보네의 장남인 이나바 마사카쓰는 이에미쓰의 측근으로 다이묘가 되었으나 병으로 사망했다. - 1553년 출생 - 모리 데루모토
모리 데루모토는 모리 모토나리의 손자이자 모리 가문의 당주로, 고바야카와 타카카게와 기카와 모토하루의 지원을 받으며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에서 공을 세웠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 총대장으로서 실질적으로 참전하지 않아 영지를 잃고 조슈 번을 다스리게 된 인물이다. - 1553년 출생 - 정발 (1553년)
정발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1579년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으며, 1592년 임진왜란 때 부산진 첨사로서 왜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하여 충렬공 시호를 받고 좌찬성이 추증, 동래 충렬사에 배향되었다. - 오쿠보씨 - 오쿠보 나가야스
오쿠보 나가야스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다케다 가신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행정 능력을 인정받아 막부 운영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부정 축재 의혹으로 실각하고 가문이 몰락했다. - 오쿠보씨 - 가라쓰성
가라쓰성은 1595년 데라자와 히로타카가 축성을 시작하여 1608년에 완성되었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 폐성되어 공원으로 조성되었고, 현재의 천수각은 1966년에 재건되었다.
오쿠보 다다치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오쿠보 다다치카 |
본명 | 오쿠보 나가야스 |
이명 | 센마루 (유년 시절), 신주로 (통칭), 게이안 도하쿠 (호), 다다야스 |
출생 | 기원전 1553년경, 오카자키, 봉건 일본 |
사망 | 1628년 7월 28일, 에도 |
묘소 | 가나가와현오다와라시의 다이큐지, 도쿄도기타구다바타의 다이큐지, 교토부교토시가미교구의 혼젠지 |
관직 | |
관위 | 종5위하지부대보, 사가미 수 |
막부 | 에도 막부노중 |
주군 | 도쿠가와 이에야스 → 히데타다 |
번 | 사가미 오다와라번주 |
가문 | |
씨족 | 오쿠보 씨 |
아버지 | 오쿠보 다다요 |
어머니 | 곤도 사치마사의 딸 |
형제자매 | 다다치카, 다다모토, 다다시게, 다다카, 다다나가 |
배우자 | 이시카와 이에나리의 딸 (정실) |
자녀 | 다다쓰네, 이시카와 다다후사, 노리타카, 유키노부, 이시카와 나리타카, 다다나오, 다다무라, 사다요시, 딸 (요리타 야스마사의 아내), 딸 (구바이 다다자에몬의 아내), 딸 (쇼만지 교료의 아내) |
양녀 | 모리카와 시게토시의 아내, 야마구치 시게노부의 아내 |
군사 정보 | |
소속 | 도쿠가와 씨 |
부대 | 오쿠보 씨 |
지휘 | 오다와라성 |
계급 | 가로, 다이묘 |
주요 전투 | 호리카와성 포위전, 아네가와 전투 (1570년), 미카타가하라 전투 (1573년), 나가시노 전투 (1575년), 이가 넘기,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1584년), 오다와라 정벌 (1590년), 우에다성 전투 (1600년) |
관력 | |
역임 | 오다와라번 다이묘 |
임기 시작 | 1594년 |
임기 종료 | 1614년 |
전임 | 오쿠보 다다요 |
후임 | 아베 마사쓰구 |
직책 | 노주 |
2. 생애
오쿠보 다다치카는 1553년 미카와 국 누카타 군 카미와다(아이치현오카자키시)에서 도쿠가와 씨의 중신인 오쿠보 타다요의 장남으로 태어났다.[1] 1563년부터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으며, 1568년 토토미 국 호리카와성 공격에서 첫 출진하여 적장의 목을 베는 무공을 세웠다.[2] 이후 아네가와 전투, 미카타가하라 전투, 나가시노 전투,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오다와라 정벌 등 이에야스의 주요 전투에 종군하며 활약했다. 특히 미카타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군이 궤멸되는 와중에도 이에야스를 끝까지 수행한 충절을 인정받아 봉행직(훗날의 노중)에 임명되었다.[15]
1582년 혼노지의 변 때에는 이에야스의 이가코에에 동행했고, 가이 국·시나노 국 평정 사업에서 확보한 영지 경영에 힘썼다. 1586년 이에야스가 상경했을 때 종5위하 지부쇼에 임명되었고, 토요토미 씨의 성을 하사받았다.[16] 1590년 이에야스가 관동으로 이동할 때 무사시 국 하뉴 2만 석을 받았고, 1593년에는 이에야스의 아들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가로가 되었다. 1594년 아버지 타다요가 사망하자 가독을 잇고 사가미 국 오다와라 6만 5,000석의 영주(후에 초대 번주)가 되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때에는 히데타다를 따라 나카센도를 진격했지만, 시나노 국우에다성에서 사나다 마사유키를 공격하느라 본 전투에 늦게 도착했다(우에다 합전). 1601년 고즈케 국다카사키번 13만 석으로의 가증 제안을 받았지만 사양했고, 1610년에는 노중에 취임하여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 정권의 실력자가 되었다.
그러나 1611년 아들 타다츠네의 사망, 1613년 야마구치 시게마사의 개역, 오쿠보 나가야스 사건 등 일련의 사건을 겪으며 권세가 흔들렸다. 1614년 1월에는 기리시탄 추방 명령을 받고 교토에서 활동했으나, 곧 개역을 선고받고 오미국으로 유배되었다. 이후 출가하여 케이안 도하쿠라 칭하고 1628년 사망했다. 향년 75세. 개역 이유에 대해서는 혼다 마사노부·마사즈미 부자의 책략, 도요토미 정권과의 관계 등 여러 설이 있지만, 확실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2. 1. 초기 생애와 군사적 활약
오쿠보 다다치카는 155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는 가문에서 태어났다.[1] 1563년부터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으며,[2] 1568년 도토미의 호리카와성 포위전에서 처음으로 역사 기록에 등장했다.[2] 성은 1569년에 함락되었는데, 함락 후 이에야스는 이시카와 한자부로에게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성의 죄수들과 거주자들을 학살하라고 명령했다. 미야코다 강둑에서 약 700명이 참수된 것으로 기록되었다.[3] 다다치카는 이 학살을 목격했으며, 자신의 개인 일기인 『미카와 모노가타리』에서 "...남자와 여자 모두 조각조각 잘릴 수 있다..."라고 증언했다.[4]1582년까지 다다치카는 아네가와 전투, 미카타가하라 전투, 나가시노 전투와 같은 이에야스의 주요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5][2] 도쿠가와 가문에서 복무하는 동안 부교시키(행정관) 직책에 임명되었다.[6][7] 1582년 혼노지의 변 이후, 이에야스를 따라 이가 국을 통과하여 미카와로 탈출한 고위 가신 중 한 명이었다.[8] 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 참여했다.[2]
2. 2. 도쿠가와 정권의 중추
오쿠보 다다치카는 1553년에 태어나[1] 1563년부터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다.[2] 그는 아네가와 전투, 미카타가하라 전투, 나가시노 전투 등 이에야스의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5][2] 도쿠가와 가문에서 복무하는 동안 행정관 직책인 부교시키에 임명되었다.[6][7] 1582년 혼노지의 변 이후, 이에야스를 따라 이가 국을 통과하여 미카와로 탈출한 가신 중 한 명이었다.[8]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 참여했다.[2] 1586년 도쿠가와와 도요토미 가문 사이에 평화가 이루어진 후, 이에야스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방문했을 때 종오위에 임명되었고 도요토미라는 성을 받았다.[9] 간토 지방으로 이동하면서 하뉴 성을 관리하게 되었고, 무사시 국에서 2만 석의 영지를 받았다.[5] 아버지 사후, 오쿠보 씨의 가주 자리를 물려받았고, 영지는 총 7만 곡에 달했다.[10][11]
1593년,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가로로 임명되었다.[11]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군대와 함께 나카센도를 따라 이동했으나, 시나노 국의 우에다성 전투로 인해 전투에 늦게 도착했다.[11] 1610년, 도쿠가와 막부가 창건된 후, ''로주''가 되었다.[11]
1614년 1월,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기독교 박해를 명령했을 때, 교토 주민들에게 기독교 사제를 추방하라는 명령을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12]
2. 3. 실각과 유배
1613년부터 1614년까지 발생한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오쿠보 가문은 쇼군가의 신임을 잃었다. 첫 번째는 오쿠보 나가야스 사건이었다. 이 사건으로 오쿠보 나가야스의 영지는 몰수되었고, 오미 국의 5,000 고쿠의 작은 하타모토 영지로 재배치되었다. 나가야스는 얼마 지나지 않아 공직에서 은퇴하여 '''케이안 도하쿠'''(渓庵道白)라는 이름의 불교 승려가 되었다. 오쿠보 가문에 닥친 두 번째 불행은 다다치카가 영지를 몰수당하고 추방되면서 그의 경력이 훼손된 것이었다.[13]다다치카가 추방된 후, 혼다 마사노부는 오다와라에 있는 다다노리의 어머니와 아내의 안전을 알리는 편지를 그에게 보냈다.[13] 미츠키 쿠니테루가 기록한 설에 따르면, 당시 다다치카가 쇼군가의 신임을 잃은 이유는 도요토미 씨를 멸망시키려던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다다치카가 사이고쿠 지방(일본 서부 지역)의 다이묘 영주들과 너무 가깝게 지내며 쇼군가와 도요토미 씨 사이의 화해를 옹호할 수도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한다.[13]
그러나 다다치카가 도쿠가와 가문과 쇼군가를 위해 오랫동안 봉사한 공을 인정하여, 다다치카의 적손인 오쿠보 타다토모가 오쿠보 가문을 잇도록 허용되었고, 오쿠보 타다토모라는 이름의 양자는 오다와라 번의 영주로 복귀했다. 또한, "오쿠보 사건"에 연루되어 파면되었던 이시카와 타다후사는 이에나리 이시카와(양부의 아버지)의 공로를 고려하여 복귀가 허용되었으며, 오사카 전투에서의 군사적 공적을 인정받아 오가키 번과 제제 번의 영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게이초 16년(1611년) 10월 10일, 적남인 오쿠보 타다츠네가 병으로 사망하면서 권세에 그림자가 드리우기 시작했다. 이때 에도 막부에 무단으로 오다와라까지 조문을 간 사람은 문을 닫는 처분을 받았다.[17] 적남의 죽음에 의기소침해진 타다치카는 이후 정무를 결석하는 일이 잦아져 이에야스의 미움을 샀다.[18] 또한 타다츠네 사망 후, 히데타다가 타다치카를 위해 정진 낙제 연회를 열려고 했지만, 타다치카는 이를 거절하여 다른 노중들의 반감을 샀다.[19]
게이초 18년(1613년) 1월 8일, 야마구치 시게마사가 막부의 허가 없이 타다치카의 양녀를 아들 시게노부에게 시집보낸 혐의로 개역되었다. 타다치카는 이전에 양녀의 친조부인 이시카와 이에나리가 혼인 건을 전하여 허가를 받았기 때문에 자신이 다시 허가를 받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여 히데타다의 허가를 받으려 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같은 해 4월에는 요리키인 오쿠보 나가야스가 사망한 후, 그의 부정 축재가 드러나면서 나가야스의 아들이 할복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2월, 에도에서 슨푸로 귀국하던 이에야스는 6일에 사가미국 나카하라에 도착하여 며칠간 머무른 후, 13일에 갑자기 에도로 되돌아갔다. 12월 19일, 타다치카는 막부로부터 기리시탄 추방 명령을 받고 교토로 올라가 이듬해 게이초 19년(1614년) 1월 18일부터 반텐렌 사찰 파괴, 신도 개종 강요, 개종 거부자 추방을 시행했다. 그러나 다음날 갑자기 개역을 선고받았다. 거성인 오다와라성은 혼마루를 제외하고 파괴되었고, 2월 2일에는 전년에 후사가 끊긴 오쿠보 타다스케의 거성인 산마이바시성도 파괴되었다. 이후 타다치카는 오미국으로 유배되어 이이 나오타카에게 맡겨졌다. 이때 구리타 군 나카무라 향에 5,000석의 영지를 받았다. 3월 1일, 타다치카는 덴카이를 통해 이에야스에게 변명서를 제출했지만, 이에야스는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3월 15일에는 호리 토시시게가 연좌되어 개역되었다.
그 후, 타다치카는 출가하여 케이안 도하쿠라 칭하고, 간에이 5년(1628년) 6월 27일에 사망했다. 향년 75세. 쇼군가의 허락은 끝내 내려지지 않았다.
개역 이유에 대해, 혼다 마사노부·마사즈미 부자가 정적인 타다치카를 몰락시키기 위한 책략을 꾸몄다는 견해가 에도 시대부터 있었다. 마사즈미는 오카모토 다이하치 사건에 부하가 관여하면서 정치적 기반이 흔들리고 있었고, 타다치카를 제거함으로써 자신의 입지를 굳히려 했다고 전해진다. '도쿠가와 실기'도 혼다 부자에 의한 음모설을 지지하고 있다.[22]
3. 인물 및 일화
도도 다카토라의 저택에서 장기를 두고 있던 오쿠보 다다치카는 게이초 19년 (1614년) 1월 19일, 교토 쇼시다이 이타쿠라 가쓰시게로부터 예고 없이 이에야스의 개역 명령을 받았다. 다다치카는 "유배자의 몸이 되면 장기도 즐길 수 없다. 이 한 판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 주십시오."라고 말했고, 가쓰시게는 이를 승낙했다.[1] 다다치카의 개역 소식에 교토 시민들은 크게 당황하여 재산을 옮기는 등 소동이 벌어졌다고 『반한보』에 기록되어 있다.[1]
이이 나오타카가 이에야스 사후, 오쿠보 다다치카의 억울함을 쇼군 히데타다에게 탄원하려 했으나, 다다치카는 이에야스에 대한 불충이 된다며 거절했다.[2]
세키가하라 전투 후, 이에야스가 후계자 상담을 할 때, 히데타다의 형인 유키 히데야스나 동생 마쓰다이라 다다요시가 거론되는 가운데, 다다치카가 히데타다를 추천했다는 일화가 『다이토쿠인덴고지쓰키』에 전해진다.[3]
히데쓰구 사건 당시, 도요토미 히데쓰구가 히데타다를 인질로 삼아 이에야스에게 중재를 받으려 했으나, 다다치카는 히데쓰구가 보낸 사자를 교묘하게 돌려보내고 그 사이에 히데타다를 후시미 저택으로 피신시켜 화를 면하게 했다 (『반한보』).[4]
다도를 좋아하여 후루타 오리베에게 배운 다인이기도 했다 (『다인 계보』).[5] 다실과 정원에 공을 들여 상방의 다이묘들과 교류했고, 사자에게 차를 대접한 뒤 말을 주기도 했다. 다다치카는 오슈에서 말을 대량으로 구입하여 에도와 오다와라에 두었는데, 마사노부는 이러한 행위에 이의를 제기하며 오다와라로부터 전봉을 신청해야 한다고 조언했지만, 다다치카는 자신이 오다와라를 받는 것은 당연하다고 답했고, 이 발언이 문제가 되었다고 한다 (『이시카와 쇼세이 문견집』).[5]
4. 가계
구분 | 내용 |
---|---|
아버지 | 오쿠보 타다요 |
어머니 | 곤도 유키마사의 딸 |
정실 | 이시카와 이에나리의 딸 |
장남 | 오쿠보 타다츠네 |
차남 | 이시카와 타다후사 |
삼남 | 오쿠보 노리타카 |
사남 | 오쿠보 유키노부 |
오남 | 이시카와 나리타카 |
육남 | 오쿠보 타다히사 |
칠남 | 오쿠보 타다무라 |
팔남 | 오쿠보 사다요시 |
처 | 요다 야스자네의 처 |
처 | 구가이 츄자에몬의 처 |
처 | 쇼만지 쿄료의 처 |
양녀 | 모리카와 시게토시의 처 - 시타라 사다키요의 딸 |
양녀 | 야마구치 시게노부의 처 - 이시카와 야스미치의 딸 |
양녀 | 하루 - 타케코시 마사노부의 처 |
5. 등장 작품
- 도쿠가와 이에야스(1983년, NHK 대하드라마) - 요시다 코코 → 사카니시 료타
- 카스가노 츠보네(1989년, NHK 대하드라마) - 이시다 타로
- 아오이 도쿠가와 삼대(2000년, NHK 대하드라마) - 이시다 타로
참조
[1]
서적
江戸→TOKYO なりたちの教科書3 東京の基盤をつくった「武家屋敷物語」
https://books.google[...]
淡交社
2018
[2]
서적
新編岡崎市史: Sōshū hen Volume 20 of New edition of Okazaki City History
https://books.google[...]
新編岡崎市史編さん委員会
1983
[3]
서적
ふるさと百話
静岡新聞社
1972
[4]
서적
Mikawa Monogatari
Hosoe town Board of Education
[5]
서적
武蔵国藩史総覧
https://books.google[...]
聚海書林
1989
[6]
서적
江戶幕府職制の基礎的研究: 美和信夫教授遺稿集
https://books.google[...]
広池学園出版部
1991
[7]
서적
天下は天下の天下なり―徳川五代と水戸黄門 株式会社ディスカヴァー・トゥエンティワン
https://books.google[...]
株式会社ディスカヴァー・トゥエンティワン
2000
[8]
서적
徳川家康・伊賀越えの危難
https://books.google[...]
鳥影社
1985
[9]
서적
天正・文禄・慶長期、武家叙任と豊臣姓下賜」『駒沢史学
https://cir.nii.ac.j[...]
駒沢史学
2013
[10]
서적
NOBILIAIRE DU JAPON
http://www.unterstei[...]
2003
[11]
서적
2020
[12]
서적
Ideology and Christianity in Jap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0
[13]
서적
小田原城主 大久保忠世・忠隣
https://www.kosho.or[...]
名著出版
1980
[14]
간행물
依田松平氏の信濃佐久郡支配
岩田書院
2017
[15]
서적
お殿様たちの出世
[16]
간행물
天正・文禄・慶長期、武家叙任と豊臣姓下賜
駒沢史学
[17]
문서
慶長見聞録案紙
[18]
문서
続本朝通鑑
[19]
문서
石川正西聞見集
[20]
문서
当代記
[21]
문서
慶長年禄, 家忠日記増補, 御当家令状
[22]
서적
徳川幕閣
[23]
문서
細川家記
[24]
서적
大久保忠世・忠隣
名著出版
2000
[25]
문서
三河物語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